안녕하세요. 하늘이당 입니다.
제가 이번에 공유할 정보는 산업안전보건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제가 담당하고 있는 분야가 안전보건관리 입니다.
제 블로그에 오신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사전에 안전사고 예방을 하기 위해 산업안전보건법을 꼭 먼저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요번 주제는 산업현장에서의 '대사성 증후군 예방' 에 대해 안내 드리겠습니다.
1. 대사성 증후군이란?
- 대사성위험인자를 한사람이 여러 가지를 가지고 있는 상태를 말하며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되어 있는 상태 즉 당뇨의 전단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2. 대사성 증후군 진단
- 복부둘레(동양인) : 남자 90Cm 이상 (35.4인치)
여자 85Cm 이상 (33.5인치)
- 중성지방 : 150mg/dL 이상
- HDL 콜레스테롤 : 남자 40mg/dL
여자 50mg/dL
- 혈압 : 130/85mmhg 이상
- 공복혈당 : 100mg/dL 이상
3. 대사성 증후군 일이키는 질병
- 지방간
간에 지방이 지나치게 많아진 상태입니다
피곤하고, 오른쪽 배가 좀 아픈 정도의 증상만 나타나지만 방치하면
만성 간염이나 간경변이 된다.
간경변은 간이 점차 딱딱하게 굳고 작아지는 것으로,
간이 원활히 기능하지 않는 병이다
- 암
우리나라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는 병이다.
몸속 조직이나 세포가 성장 질서를 무시하고 과도하게
증식해 덩어리진 종양이 주변의 정상 조직을 파괴합니다.
한군데서 생겼더러도 시간이 지나면 몸 전체로 전위되기 때문에 무서운 병이다.
- 뇌졸증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는 병입니다.
뇌에는 말을 하고 몸을 움직이게 하며 감각을 느끼는 등 생명유지에 필요한
영역이 세밀하게 나눠져 있습니다.
어느 부분이 혈관에 문제가 생기느냐에 따라 주변 뇌조직이 담당하던 신체
기능이 망가지게 됩니다.
- 심근경색
심장혈관이 갑자기 막혀서 김장근육이나 세포가 죽는 병입니다.
당장 생명이 위험한 응급질환입니다.
아무런 증상이 없다 갑자기 쓰러지기도 하며 가슴을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느껴지기도 하오니 주의해야 합니다.
4. 대사성 증후군 예방과 관리
- 식사
→ 규칙적인 식사화 양 조절 (하루 500~1000칼로리 덜 먹는다는 맘으로)
→ 기름기 많은 고칼로리 식사 피하기 (치킨, 튀김, 삼겹살)
→ 간식, 야식 끊기
→ 짜지 않게 먹기, 야채는 되도록 간이 덜된 상태로 섭취하기
- 운동
→ 일상생활에서 활동량 늘리기 (움직임을 늘리자)
→ 매일 30분이상 유산소 운동하기 (달리기, 걷기, 수영, 자전거타기)
- 금연
→ 담배를 줄이는 것이 아닌 끊는다는 목표 세우기
- 금주
→ 술살은 잘 빠지지도 않는다고 합니다.
술먹는 횟수를 줄이고 거절하는 습관을 갖자
- 수면
→ 날 새면서 게임하지 말고 일찍일찍 자고 일어나는 습관을 갖자
5. 대사성 증후군 조심해야 할 음식
- 어육류 : 소고기, 돼지고기, 내장, 닭, 오리 껍질, 스팸, 소세지, 베이컨 등
- 알류 : 달걀노른자, 생선알, 젓갈류 등
- 우유 및 유제품 : 우유, 연유, 치즈, 크림치즈, 아이스크림 등
- 지방류 : 소기름, 돼지기름, 버터, 마요네즈, 마가린, 야자유, 코코넛기름 등
- 곡류 : 버터로 튀긴 팝콘, 기름기 많은 과자, 버터 많이들어간 케잌 등
- 기타 : 초콜릿, 파이, 도넛, 튀김류 등
모든 건강관리는 운동과 음식조절이 필수 입니다.
야채도 골고루 잘 먹고 걷기 운동이라도 해서 건강관리를 열심히 하시길 바랍니다.
건강하게 오래오래 살아야 모든 가정이 행복합니다.
힘내세요. 화이팅 입니다.
'산업안전보건관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재관련 결핵 정보 (0) | 2020.12.17 |
---|---|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정보 (0) | 2020.12.16 |
산재관련 고지혈증 예방 정보 (0) | 2020.12.14 |
건전한 음주문화 정보 (0) | 2020.12.11 |
산재관련 정리정돈과 재해예방 정보 (0) | 2020.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