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늘이당 입니다.
이번 소개해 드릴 내용은 산업안전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지금 제가 회사에서 담당하고 있는 분야가 안전보건관리 입니다.
제 블로그에 오신분들께 많은 도움과 정보를 드리고자 합니다.
요즘 뉴스만 보아도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전에 안전사고 예방을 하기 위해서는 산업안전보건법을 먼저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요번 주제는 작업개시전 점검사항에 대해 안내 드리겠습니다.
1. 안전점검이란?
안전점검이란 여러분이 작업장에서 생산활동을 하는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미리 찾아내어 제거시키는 활동으로서 현장에서 기계설비 등을 보면서 실시하는 것 입니다.
안전점검을 반복하여 실시하게 되면 안전점검활동이 정착하게 되며 직장의 안전수준도
높아지고 또한 생산활동을 계속하다 보면 매너리즘에 빠지기 쉬운데 이때
안전점검을 통해 자신의 안전을 재확인함으로써 신선한 활력소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2. 안전점검 실시방법
○ 외관점검
- 기계∙설비의 적정한 배치, 설치상태, 변형, 균열, 손상, 부식 등의 유무를 시각 및 촉각에 의해 조사합니다.
○ 기능점검
- V-벨트를 손가락으로 가볍게 눌러 본다든가 전동기를 가동시켜 그 회전상황을 살펴보는 등
같이 간단한 조작을 행하여 대상기기의 기능이 적당한지를 확인 합니다.
○ 작동점검
- 안전장치나 누전 차단장치 등을 정해진 순서에 의해 작동시켜 작동상황이 적합한가를 확인 합니다.
○ 종합점검
- 정해진 점검기준에 의해 측정하여 검사하고 또한 일정한 조건하에서 운전시험을 행하여
그 기계설비의 종합적인 기능을 확인합니다.
3. 안전점검 시 주의사항
○ 티끌, 먼지 등으로 더러워진 설비를 장시간 방치하면 안전장치, 제어장치, 조작기구에 지장을
가져오는 수가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털어내고 청소를 합니다.
○ 캡, 볼트 등을 열거나 잠글 때 해머로 두들기거나 끌로 긁으면 안되며 반드시 소정의 공구를 사용합니다.
○ 용기의 내용물을 점검할 때는 용기 내의 잔압에 주의하고, 잔압을 제거한 후에 점검을 실시합니다.
4. 안전순찰 점검표
○ 정리, 정돈
- 작업장 안전토오 확보 및 정리 정돈상태
- 공구, 기구의 정리 정돈상태
- 불용품, 폐품 등의 처리상태
- 제품, 반제품, 원료 등의 적재 및 보관상태
○ 보호구의 착용, 작업복 및 작업상태
- 해당 작업에 적합한 보호구를 올바르게 착용하고 있는지
- 작업복은 규정대로 입고 있는지
- 장갑을사용금지 작업에서 착용하고 있는지
○ 기계장치 표시
- 기계의 청소나 정비 상태
- 안전장치를 제거하지 않았는지
- 표시는 정확하게 게시하고 있는지
○ 전기설비, 조명
- 전기용접용 배선설비의 상태
- 분전함 및 전기배선 상태
- 조명, 채광 상태
5. 각 설비별 점검
○ 사무실 점검요령
- 계단 체크 포인트
→ 계단에 물건이 놓여 있지 않은지
→ 기름, 물이 쏟아져 미끄럽지 않은지
→ 조명은 적당한지
→ 측면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지
- 창가, 벽면 체크 포인트
→ 불안전한 전원코드가 없는지
→ 창가나 벽쪽에 불안전하게 물품이 쌓여있는지
→ 창가에 밖으로떨어질 우려가 있는 상태로 물건이 놓여있는지
- 출입구 통로 체크 포인트
→ 출입문에 '미시오' '당기시오' 표시가 있는지
→ 통로 위에 장애물, 기름, 물이 흩어져 미끄럽지 않은지
- 방재설비와 장치 체크 포인트
→ 비상구나 피난구등의 표시는 알기 쉽게 설치되어 있는지
→ 화재경보기나 소화기 등 소방설비 앞에 물건이 놓여있는지
○ 작업장 점검요령
- 작업장 바닥 체크 포인트
→ 요철이 있는지
→ 위험한 물질은 지정장소의 전용 용기에 담겨져 있는지
→ 코드나 호스, 배관 등이 불안전하지는 않은지
- 통로 체크 포인트
→ 폭 80cm 이상의 안전한 통로가 개설되어 있는지
→ 흰선, 목책, 철책 등으로 작업장소가 구별되어 있는지
→ 출입구의 넓이는 충분하며 방해물은 없는지
- 원재료, 반제품 체크 포인트
→ 선반, 상자에 적절하게 구분하여 보관하고 있는지
→ 운반이 가능한 통로나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지
- 작업복 체크 포인트
→ 너무 크거나 길지는 않으며 찢어지거나 터져있지 않는지
→ 기름투성이거나 약품으로 오염되어 있지 않는지
→ 목에 감긴 수건 등이 작업복 밖으로 나오지는 않는지
→ 장갑착용 금지작업(회전체 작업)시 장갑을 끼지는 않는지
→ 소매나 바지끝을 접어 올리지는 않았으며 모자는 반듯하게 썼는지
- 보호구 체크 포인트
→ 인원수에 비하여 보호구의 수량이 부족하지 않는지
→ 책임자를 정하여 정기적으로 점검 및 정비를 하고 있는지
→ 사용기준이 명확히 정해져 명시되어 있는지
→ 작업현장에 방치되어 있지 않는지
- 취급운반 체크 포인트
→ 운반통로는 확보되어 있는지
→ 짐을 쌓아 놓은 상태
→ 짐은 정돈되어 놓여 있으며 또 짐과 짐의 간격이 충분하고 출입이 용이한지
→ 중량물 취급공정 인근에 중량물무게중심표지판을 부착 하였는지
→ 조명, 채광은 적절한지
이상 작업개시전 점검사항에 대한 내용을 공유 드렸습니다.
모든 작업에는 위험요소가 있으니 항상 안전수칙을 잘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사전에 예방대책을 마련하여 미리미리 안전사고를 예방합시다.
감사합니다.
'산업안전보건관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거리두기 회사 행동지침 정보 (0) | 2020.11.26 |
---|---|
산재관련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정보 (0) | 2020.11.04 |
산재관련 3대 다발재해 예방 정보 (0) | 2020.09.27 |
산재관련 산업보건 및 직업병 예방 정보 (0) | 2020.09.01 |
산재관련 근골격계 질환 예방 정보 (0) | 2020.08.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