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보건관리 정보

산재관련 지진발생 대피요령 정보

by skykim88 2020. 8. 27.


안녕하세요. Sky_kim Story 입니다.    

이번 소개해 드릴 내용은 산업안전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지금 제가 회사에서 담당하고 있는 분야가 안전보건관리 입니다.    
제 블로그에 오신분들께 많은 도움과 정보를 드리고자 합니다.   

요즘 뉴스만 보아도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전에 안전사고 예방을 하기 위해서는 산업안전보건법을 먼저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요번 주제는 지진 발생 시 대피요령에 대해 안내 드리겠습니다.

■ 지진발생 시 대피방법
  1. 지진이란 ?
     - 지진은 지하에 축적된 탄성에너지의 급격한 방출에 의해 지구가 진동하는 현상이다.
     - 세계에서 지진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역은 환태평양지진대이며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는 진도와 규모가 사용된다.

     - 진도는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상대적 개념의 단위로, 사람이 느끼는 지진의 정도와 건물의 
       피해 정도를 기준으로 나타낸다.
     - 리히터 규모는 지진의 강도를 나타내는 절대적 개념의 단위로, 지진발생 시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척도이며 보통 규모 1이 차이가 나면 에너지 방출에 있어서 25~30배의 에너지 증가를 가져온다.

  2. 이것만은 꼭 기억하자
    √ 머리를 보호하고 위험물로부터 몸을 피한다.
    √ 화재 발생시 침착하고 빠르게 불을 끈다.
    √ 지진 발생 시 진동 중에 밖으로 나가면 유리창이나 간판 등이 떨어져 매우 위험하다.
    √ 지진이나 화재 발생 시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서는 안된다.
    √ 여진은 지진에 의해 취약해진 건물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여진에 대비한다.

3. 안전한 조치 방법
  가. 물건 낙하 및 화재
    - 튼튼한 테이블 밑에 들어가서 몸을 보호한다.
    - 테이블 등이 없을 때는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한다.
    - 머리를 보호하고 위험물로부터 몸을 피한다.
    - 낙하물, 자동판매기, 블록담, 대문기둥은 피해야 한다.
    - 대지진 발생 때는 구조대에 의한 구조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침착하게 대처해야 한다.
    - 화재 발생시 침착하고 빠르게 불을 끈다.
    - 주변 사람들과 협력하여 초기에 불을 끄도록 한다.

  나. 서둘러 뛰쳐나가지 말 것
    - 지진이나 화재 발생 시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서는 안되며, 갇혔을 경우에는 도움을
      요청하고 당황하지 않는다.
    - 공공장소에서는 당황하지 말고 안내자의 지시를 따른다.
    - 지진 발생 시 진동 중에 밖으로 나가면 유리창이나 간판 등이 떨어져 매우 위험하다.
    - 운전 시에는 도로의 오른쪽에 차를 정차하고 도로의 중앙을 비운다.
    - 블록담, 자동판매기 등 고정되지 않은 물건 가까이에는 가지 않는다.
    - 문을 열어서 출구를 확보한다.
    - 갇힐 사태를 대비하여 대피방법을 미리 준비해 둬야 한다.

  다. 지진이 멈춘 후
    - 부상자를 살펴보고 즉시 구조를 요청하며 만약 부상자를 옮겨야만 한다면 머리와 부상
      부위를 고정한 후 안전한 곳으로 옮긴다.
    - 만약 부상자의 호흡이나 심장이 멈추었으면 신속하고 조심스럽게 심폐소생술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 정전이 되었다면 손전등을 사용하고 불(양초, 성냥, 라이터)은 누출된 가스가 폭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을 확인한 후 사용한다.
    - 전기에 문제 있을 시에는 전기차단기를 내린다.
    - 유리파편 등에 대비하여 견고한 신발을 신도록 한다.
    - 가스가 누출되면 가스 밸브를 잠근 후, 관계기관에 신속히 신고하고 전문가의 조치를 받은 다음 재사용한다.
    - 여진은 지진에 의해 취약해진 건물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여진에 대비 한다.

4. 장소별 행동요령
   - 집안에 있을 경우 : 탁자 아래로 들어가 몸을 보호합니다. 흔들림이 멈추면 전기와 가스를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한 후 밖으로 나갑니다.
   - 집밖에 있을 경우 : 떨어지는 물건에 대비하여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며, 건물과 거리를 두고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 엘리베이터에 있을 경우 :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 가장 먼저 열리는 층에서 내린 후 계단을 이용합니다.
   - 학교에 있을 경우 : 책상 아래로 들어가 책상 다리를 꼭 잡습니다. 흔들림이 멈추면 질서를 지키며
     운동장으로 대피합니다.

   - 마트에 있을 경우 : 진영잘에서 떨어지는 물건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계단이나 기둥 근처로 가 있습니다.
     흔들림이 멈추면 밖으로 대피합니다.
   - 경기장 등에 있을 경우 :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가방 등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면서 자리에 있다가,
     안내에 따라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 전철을 타고 있을 경우 : 손잡이나 기둥을 잡아 넘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 운전을 하고 있을 경우 : 비상등을 켜고 서서히 속도를 줄여 도로 오른쪽에 차를 세우고,
     라디오의 정보를 잘 들으면서 키를 꽂아 두고 대피합니다.

이상 지진 발생 시 대피요령에 대해 내용을 공유 드렸습니다. 
실무에 잘 접목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 해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